전공소개
1. 키워드
이동통신 | 네트워크 | 6G |
자율주행 | 인공지능 | 기계학습 |
스마트시티 | 스마트팩토리 |
2. 개요
연합전공 지능형통신은 전기전자, 컴퓨터, 산업공학, 기계공학, 물리학, 행정학(통신정책), 언어학 등 다양한 학제 간 연계 및 교류를 통한 체계적인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 교과과정을 제공함으로써 산업발전, 국가 경쟁력 제고 및 인류 공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기초 이론 교육과 실무 교육(프로그래밍, 통신표준)을 병행함으로써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ICT 인재를 양성한다. 연합전공 과정을 통해 차세대 6G 이동통신 이론,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및 통신 시스템 구현, 통신표준 및 정책에 대한 이해와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통신 기술을 익힌다.
연합전공 지능형통신은 다양한 학문 간 융합을 기반으로 기술적 이해와 정책적 사고를 아우르는 통합적 사고력을 배양하며 학문적 기반과 함께 산업계 요구에 부합하는 실무 능력을 함양하며, 자율주행, IoT 및 스마트시티 등 차세대 응용 기술과 직결된 미래지향적 학문이다. 연합전공 지능형통신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은 이동통신 및 네트워크 기업, AI 및 IoT 응용 산업, 정부 및 공공 정책 분야, 연구소 및 학계, ICT 기반 스타트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3. 세부 전공 및 대표 연구 분야
연합전공 지능형통신의 세부 분야는 아래와 같다.
차세대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6G, IoT, 위성통신, 셀룰러 네트워크, 네트워크 아키텍처 등 차세대 통신 기술을 다루며 자율성, 초저지연, 초연결성 중심 기술이다.
AI 기반 지능형통신
인공지능/머신러닝을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 접목시키며 정보 전송, 자원할당, 트래픽 예측, 네트워크 최적화 및 자율 네트워크 운영 등에 활용된다.
통신 보안 및 인터넷 기반 기술
정보 보호, 인터넷 보안, 네트워크 침입 대응 등 실용적이고 필수적인 통신 보안 분야로 인터넷 보안, 인터넷 기술 및 시스템을 연구한다.
정보통신 정책 및 제도
ICT 산업의 규제, 법제도 및 정책 수립을 다루는 분야이며 국가적, 글로벌 통신 정책의 이해와 분석 연구를 한다.
지능형 시스템과 융합기술
로봇,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등과의 통신 융합 기술이며 로봇공학 및 전자기학에 대하여 연구한다.
연합전공 지능형통신은 인공지능 및 컴퓨터공학, 정보보호 및 사이버 보안, 기계공학 및 자율주행 시스템, 정책학∙법학∙행정학, 산업공학∙경영학 등 다양한 타 학문 분야와의 연계 가능성이 매우 높다.
4. 전공 공부를 위해 필요한 역량 및 적합한 학생 유형
•
기초 수학∙물리,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
•
통신 및 네트워크 이해와 AI∙데이터 분석 능력, 융합 사고 및 문제 해결력 및 기술을 사회∙정책에 적용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AI, 로봇, 통신 등 신기술에 관심이 많고 기술과 사회의 연결에 대한 관심
5. 전공에 대한 흔한 오해(Myths)와 사실
오해 1: 지능형통신은 단순히 통신 전공에 인공지능을 조금 얹은 것이다.
Fact check 1 (Click!)
오해 2. 지능형통신은 연합전공이라 깊이 있는 연구를 하기 어렵다.
Fact check 2 (Click!)
오해 3. 연합전공은 소속감이 부족하고 행정적으로 불편하다.
Fact check 3 (Click!)
교과과정 관련
1. 졸업요건
이수학점: 39학점 이상
•
전공필수: 21학점
•
전공선택: 18학점 이상(전공선택 인정 교과목(3학점까지) 포함
2. 전공 교과 이수체계도
3. 탐색을 위한 권장 교과목
구분 |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개요 및 추천사유 |
교양 | F31.104 | 수학1 | 미분, 적분, 테일러 정리, 벡터와 행렬 등의 기초 수학 개념을 다루며, 신호처리와 통신 알고리즘에 필수적인 수학적 토대를 제공합니다. |
교양 | F31.105 | 수학2 | 다변수 미적분과 벡터해석 중심의 내용을 포함하며, 전자기파와 무선통신 시스템 해석에 필요한 수학적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
교양 | F31.201 | 공학수학1 | 미분방정식, 라플라스 및 푸리에 변환 등 공학 전반에 필요한 해석기법을 배우며, 통신 신호의 분석 및 시스템 모델링에 필수적입니다. |
교양 | F31.202 | 공학수학2 | 벡터미적분, 편미분방정식, 복소함수 등을 심화 학습하며, 전자기 이론과 고급 통신기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
교양 | F33.106 | 물리학1 | 운동, 에너지, 파동 등 기초 물리 개념을 다루며, 전파 및 신호 전달 원리에 대한 물리학적 직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
전공선택 | 430.211 | 프로그래밍방법론 | Java와 C/C++을 중심으로 기본 문법과 알고리즘, 네트워크 및 GUI 프로그래밍을 익히며, 통신 시스템 구현과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추게 합니다. |
전공선택 | 430.213A | 기초회로이론 및 실험 | 전기회로의 해석과 실험을 병행하며, 하드웨어 기반 통신 장비와 신호 흐름 이해를 위한 필수 기초를 제공합니다. |
기타 정보
1. 탐색을 위한 추천도서
도서명 | 저자 및 역자 | 출판사 | 출판연도 |
특이점이 온다 | 레이 커즈와일 | 김영사 | 2025 |
웹 3.0 메타버스 | 김용태 | 연암사 | 2022 |
4차 산업혁명과 정보통신의 이해 | 김정섭, 이호상, 양인창 | 한빛아카데미 | 2021 |
졸업생 진로
1. 졸업 후 주요 진로
•
국내외 기업: 삼성전자 등
•
대학원 진학
2. 졸업생 인터뷰(졸업생 한마디)
졸업생 A
졸업생 B
재학생 A
재학생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