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환경대학원

연번
G-51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환경조경학
도시환경설계
도시 오픈스페이스 계획
낙후지역 재생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설계
도심부 재개발계획
주거단지 설계
신도시 설계
대학 캠퍼스 계획 설계

A. 개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의 환경설계학과는 ‘환경’을 보다 아름답게 만들기 위한 폭넓은 디자인 철학과 비전을 제공한다. 환경을 보다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새롭게 창조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을 연구하며, 이론 연구와 설계 스튜디오를 병행하여 교육한다. 이론 연구는 분석이나 방법론을 위주로 과학적인 분석, 전문적인 사례, 역사, 이론, 설계 등에 대한 넓은 이해와 핵심적인 분석을 다루고, 설계 스튜디오는 구체적인 대상지를 아름답게 하는 행위인 ‘설계’에 대한 기법과 원리를 체득하는 데 중점을 둔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환경설계학과는 석사과정으로 졸업 후 조경학 석사를 취득하게 되며, 환경조경학전공과 도시환경설계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경조경학전공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 속에서 어떤 것들이 문제가 되는가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기르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함. 공원녹지 및 도시 오픈스페이스 계획과 설계, 낙후지역의 재생, 재식설계 및 단지설계,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계획과 설계, 생태적 계획과 광역조경계획, 경관 및 시각자원의 관리, 지리정보체계 및 원격 탐사까지 광범위한 분야를 관심대상으로 이론과 설계를 병행하여 교육함.
도시환경설계전공은 도시의 물적 환경 전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이끌어내어, 훌륭한 공공영역 창출을 목적으로 함. 도심부 재개발계획, 주거단지 설계, 지구단위계획, 신도시 설계, 대학 캠퍼스 계획 설계, 역사 환경 보전에 이르는 분야를 관심대상으로 함.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환경설계학과 환경조경학 전공
성종상(공학박사/조경설계, 전통조경, 생태조경)
조경진(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조경설계 및 이론)
이유미(조경석사/조경설계)
손용훈(농학박사/농촌계획, 지역관광, 도시녹지, CES, 경관연구방법론, 빅데이터)
송영근(환경학 박사/생태계획, 원격탐사/GIS, 생물다양성, 생태계 관리, 생태복원)
환경설계학과 도시환경설계전공
김세훈(도시계획학 박사/도시설계, 도시재생, 도시 라이프스타일)
이제승(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도시설계, 토지이용, 도시경쟁력, 보행환경, 기후변화, GIS)
임 저스틴 희준(도시 및 건축 석사/도시계획, 도시재생, 도시연구)

D. 연구 하이라이트

홍성인, 임 저스틴 희준, 최영준 & 이제승. (2025).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한 한강공원의 이용 패턴과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53(3), 31-47.
황해권, & 손용훈. (2024). 보행접근성 분석에 기반한 근린공원의 공원서비스 평가-성남시 분당구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2(1), 59-70.
Kim, G., Kang, Y., & Song, Y. (2025). Multi-Primer-Based Environmental DNA Survey for Vertebrate Biodiversity Monitoring in Protected Island Wetlands. Global Ecology and Conservation, Vol. 58.
Son, Y., Kang, D., Kim, J., Lee, S., Lee, J., & Kim, D. (2024). Landscape classification with self-organizing map using user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data: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17.
Jung, Sungju, Lee, Jae Seung and Kim, Saehoon. (2024). Citizen oversight of public spaces: Evaluating public participation in managing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Urban Affairs Review, 1-38.

E. 교육과정

1.
공통 교과목
가상경관 설계기법
경관의 역사
도시공원계획과 관리
도시오픈스페이스계획과 설계
역사속의 환경설계
조경공간형태 설계 스튜디오
2.
환경조경학 전공 교과목
경관의해석
경과체계분석 세미나
광역조경계획
문화와공간행태
생물다양성과 환경계획 등
3.
도시환경설계전공
단지설계
도시경관시스템 스튜디오
도시공간 연구 스튜디오
도시설계리빙랩
도시설계의 과제와 방법 등

F. 졸업 후 진로

환경설계학과의 졸업생 1000여명의 동문들은 조경, 도시, 환경 분야의 전문가로서 국내 및 해외 각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음.
설계사무소: 해안, 삼우, 희림, PMA, 건화, 도화, 동심원, CA, 그룹한 등
건설사: 현대건설, 삼성물산, GS건설 등
공기업: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연구원: 국토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서울연구원, 경기연구원, 도시재생지원센터 등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모집인원: 전기 19명, 후기 11명
총 500점=면접 및 구술고사 320점+서류심사 80점+영어성적 100점 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연구성과물(학부기간 동안 작성했던 보고서, 연구자료, 발표자료, 세미나자료 등/원본, 사본 총 2부) 제출 필수
※ 자세한 사항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홈페이지의 입학안내 참조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8529
gses@snu.ac.kr
서울대학교 82동 환경대학원
gses.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