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과학학과

연번
G-08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과학학
과학사
과학철학
과학기술학
과학정책

A. 개요

과학학과는 우리 사회의 현재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필수적인 과학기술에 대한 역사적·철학적·사회적·정책적 차원의 교육과 연구를 진행하는 학과이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소개
과학학과는 1984년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을 계승한 대학원 학과로서, 사회 속의 과학기술에 대한 학제적이고 통합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세부전공
과학학과에는 크게 과학사·과학철학·과학기술학(STS)·과학정책의 네 가지 세부전공이 있다. 학과 내의 세부전공은 내규이며, 그 경계는 유연하다.
과학사: 과학을 역사적 현상으로 보고 그 형성 및 변천, 전개 과정을 역사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학문 분야이다.
과학철학: 과학에 대한 근본적이고 일반적인 물음, 즉 인식론적·형이상학적·윤리적 물음을 다루는 학문이다.
과학기술학(STS): 좁게는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고, 넓게는 과학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학제간 연구의 총체를 뜻한다.
과학정책: 현대의 과학 연구에서 정부의 역할을 다루며, 정부의 의사 결정을 돕고 국가 연구개발체계를 개선하는 등 실천적 측면이 있다.
연혁
1984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 설립
2022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학과로 승격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홍성욱 – 과학기술과 사회(STS), 과학기술사, 기술 위험, 과학의 대중 이해, 과학과 예술, 과학 커뮤니케이션
임종태 – 전통과학사, 한국과학사
이두갑 – 서양과학기술사, 근대 생물학과 의학의 역사, 과학기술과 법
박상욱 – 과학정책
천현득 – 과학철학
김정은 - 과학정책

D. 연구 하이라이트

홍성욱, 『실험실의 진화』(2020. 김영사)
임종태, 『여행과 개혁, 그리고 18세기 조선의 과학기술』 (파주: 들녘, 2021)
이두갑, The Recombinant University: Genetic Engineering and the Emergence of Biotechnology at Stanford, 1959-198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박상욱, “Environment, drivers and dynamics of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and STI policy for the transition management” 『과학기술학연구』, vol. 11, pp.61-88. (2011)
천현득,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 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철학』 131: 217-243. (2017)
김정은, Sustainable Energy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role of energy aid donors. Climate Policy, 19(1): 1-16. (2019)

E. 교육과정

석사과정
수업연한은 2년이며 석사과정을 수료하기 위해서는 “대학원 논문연구” 수업을 제외하고 총 24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박사과정
수업연한은 2년이며 박사과정을 수료하기 위해서는 “대학원 논문연구” 수업을 제외하고 총 36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본 과정(또는 동일 전공의 다른 과정)에서 석사를 마치지 않고 바로 박사과정에 입학한 학생 가운데 과학사, STS, 과학정책을 세부전공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48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주요 기본 교과목
세부전공
교과목
과학사/STS
과학사통론1&2: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역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봄  STS 통론: 과학기술학(STS)의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 학기술학 연구 방법론: 과학기술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방법론과 이론에 대한 교과목
과학철학
과학철학통론1&2: 과학철학의 주요한 논의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과학적 근거, 방법, 규범 등을 이해
과학정책
과학정책통론: 과학정책의 기본이 되는 이론과 사례연구 학습
※ 기본 교과목 외에 세부 전공 필수 이수 교과목 및 선택 교과목 개설

F. 졸업 후 진로

졸업생 중 상당수가 성공적으로 융합적 성찰 능력을 필요로 하는 언론, 박물관 및 과학관, 정책-법 관련 연구기관 및 정부 기관 등 관련 분야로 진출하여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박사졸업생의 전임교수 취업률은 45%, 석사 출신으로 해외 또는 국내 타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졸업생의 전임교수 취업률은 40%에 이르는 등 성공적으로 학계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자연과학 및 그 응용분야를 전공하면서 과학의 발전과정, 과학연구의 본질, 과학의 방법과 그 유효성, 과학적 개념이나 이론의 철학적 의미, 사회적·문화적 현상으로서의 과학의 역할 등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어 이를 더 깊이 공부하고 연구하려는 학생
역사학, 철학, 사회학 등의 인문·사회과학 분야를 전공하면서 인간의 창조적 문화활동으로서의 과학의 이해에 관심을 갖게 되어 이를 전공하려는 학생
과학기술 관련 정책, 행정, 언론, 저술 등에 종사하기 위해 과학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얻고자 하는 학생
역사학적·철학적·사회학적·정책학적 안목으로 과학을 고찰하고자 하는 학생
현대과학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문제와 과학기술혁신 및 정책적 개입에 대한 교육을 받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학생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지원자격
공통사항으로 개정 TEPS 기준 327점(기존 TEPS 601점) 이상 혹은 TOEFL 96(IBT) 이상 점수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지원 가능 (주의: 영어점수 기준은 수시로 변경되니, 정확한 점수 기준은 신입생 모집 안내를 반드시 참고)
석사과정: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였거나 졸업예정자로 학부전공에는 제한이 없다. 과학기술에 대한 철학적·역사학적·사회학적 탐구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에게 열려있다.
박사과정: 본 과정 및 본 과정과 유사한 전공의 국내외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입학준비
본교 재학생인 경우 과정에서 개설하는 학부, 대학원 수업을 수강하면서 본 과정의 성격과 자신의 관심 분야를 살펴볼 수 있다.
타교 재학생, 졸업생의 경우에도 가급적 학부 수업을 청강하기를 권한다.
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각 분야의 권장 도서가 있다.
지원시기와 선발인원
학생 선발은 매년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서울대학교 입학관리본부가 정한 시기에 시행된다.
선발 인원은 전기 석사 5명 내외, 박사 2명 내외이며, 후기 석사 3명 내외, 박사 1명 내외이다.
학생선발
학생 선발은 서류심사와 면접 및 구술고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필기고사와 제2외국어는 본 과정의 전형에 포함되지 않는다.
서류심사는 학업성적표와 영어성적, 자기소개서 및 수학계획서, 추천서, 에세이를 통해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면접 및 구술고사에서는 지원동기와 관심분야, 관심분야에 대한 기본소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권장 수강교과목
과학혁명과 근대과학의 탄생, 과학과 근대사회, 테크노사이언스의 역사와 철학, 과학기술과 법, 과학철학,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학의 이해
석·박사과정 입학 시점 이전 3년 이내에 본교 학부 교과목인 ‘과학기술정책’을 수강하여 A0이상의 성적을 기록한 학생은 담당교수가 지정한 리뷰페이퍼를 제출하여 B+이상으로 평가되는 경우 ‘과학정책통론’을 이수한 것으로 간주한다. 단, 학점은 부여하지 않는다.
추천도서
과학사: <현대과학의 풍경>(피터 보울러, 이완 모러스), <동아시아 과학의 차이>(김영식), <과학혁명: 유럽의 지식과 야망, 1500-1700>(피터 디어)
과학철학: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장하석), <과학혁명의 구조>(토머스 쿤), <과학에서 가치란 무엇인가>(케빈 엘리엇)
과학기술학(STS):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홍성욱), <골렘-과학의 뒷골목>(해리 콜린스, 트레버 핀치), <과학, 기술, 민주주의>(대니얼 클라인맨 엮음)
추천 활동
과학기술학 연계전공
각 분야별 학회 참석, 방학 중 인턴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6758
sciencestudies.snu@gmail.com
자연과학대학 25동 412호
https://ss.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