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국제대학원

연번
G-53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국제통상
국제협력
글로벌한국
국제개발
국제무역
국제금융
국제투자
한국정치
한국사회
국제법
경제성장
개발정책

A. 개요

국제대학원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세계화와 그에 따른 국제 정치 및 경제 질서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추구하며 우리나라의 선진국 진입을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데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국제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경제, 국제정치 등 국제학의 핵심 기능 분야와 아시아, 미주, 유럽 등 세계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지역학 분야를 동시에 제공하는 다학제적인 대학원 교육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의 장점
- 다양한 학문 분야 융합 학습
- 좋은 학업 환경
- 친밀한 교수-학생 관계
- 글로벌 인재들간의 네트워킹
- 커리어 경험 및 해외 학업 기회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5개의 세부전공
국제통상: 국제통상 전공은 갈수록 다양해지는 현안들을 다루는데, 국제 무역과 금융, 국제경영과 투자, 국제통상법과 국제협상 등의 복합적인 사안을 다학제적으로 수학한다. 사회, 경제, 정치, 정책 및 법적인 관점에서 강의, 세미나, 토론, 협상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전공과정의 학생들이 국제통상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혁신적이고 전문성 있는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국제협력: 국제협력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정치, 국제안보, 국제정치경제학, 국제법과 조직, 문화의 다양성에 관한 풍부한 학제간 과정을 제공한다. 교과 과정은 학생들이 지식을 적용하고 양자 및 다자 협력을 촉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국제 환경의 역동적인 변화를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개발: 국제개발전공은 한국적 시각을 이해하고 글로벌 수준의 학문적 전문성을 갖춘 국제개발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국제개발전공은 국제개발, 경제성장, 사회발전, 개발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 및 실기 강의를 제공한다.
국제지역학: 국제지역학 전공에서는 학생들이 세계의 특정 지역(아시아, 미주, 유럽)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진 지역 전문가가 되도록 훈련하여 미래의 리더가 지역 사회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에 대한 다양한 과정이 제공된다.
한국학: 한국학은 비교 학제적 관점에서 한국에 대한 연구 전문가를 양성한다. 교과과정은 한국의 역사,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세계화 등 다양한 교과목을 다루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 내 주요 시설 및 문화유적 견학과 인턴십 등의 실습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한국학 과정은 영어 또는 한국어로 진행된다.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21명의 교수진
국제통상: 3명(오동철 교수, 안덕근 교수, 이수형 교수)
국제협력: 5명(이근 교수, 신성호 교수, 김태균 교수, 송지연 교수, 이혜영 교수)
국제개발: 3명(정혁 교수, 김종섭 교수, 윤세미 교수)
국제지역학: 6명(오윤아 교수, 김현철 교수, 박지환 교수, 정종호 교수, 조영남 교수, 이현태 교수)
한국학: 4명(은기수 교수, 박태균 교수, 한정훈 교수, Erik Mobrand 교수)

D. 연구 하이라이트

국제개발협력 연구소 활동
통상 및 글로벌 금융 관련 프로젝트
동아시아 지역 연구 및 정책 분석
국제정치·안보 관련 공동연구

E. 교육과정

석사 30학점, 박사 45학점
재학 기간 2년
논문 작성 필수

F. 졸업 후 진로

국제기구/국제NGO: UN, World Bank, 유엔세계식량계획(WF) 등
정부부처: 외교부, 국립외교원 등
연구소: 한국개발연구원(KDI),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
국내외 사기업
학계: 서울대, 단국대, 상명대 등 국내외 대학 교수진 진출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국제정치·통상·개발·협력·지역학·한국학 등에 관심이 있고,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배우고 싶은 학생
국제무대에서 일하고 싶은 학생
영어로 수업을 듣고 글로벌 역량을 키우고 싶은 학생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1차 서류심사: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학부 성적, 영어 성적, 추천서
2차 면접
입학 지원 시 참고사항
- 국제학과로 통합 모집 후 2학기 진입 시 전공 선택함
- 대부분 강의와 과제는 영어로 진행, 원어민 수준 아니어도 학술적 소통능력이 있다면 충분함.
중요한 것은 학업수행 능력 및 의지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GSIS 전공별 필수 과목(국제경제관계의 이해, 국제협력의 이해, 동아시아지역의 이해, 국제개발의 이해)과 방법론 과목 등
Hans J.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Alfred A. Knopf, 1965)
Waltz, Kenneth N., Man, the State, and War: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4)
Robert O. Keohane, After Hegemony: Power and Discord in International Politic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Alexander Wendt,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International Organization (Spring 1992).
Stephen Walt, The Origins of Alliance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8)
Robert Jervis, “Cooperation under the Security Dilemma,” World Politics 30:2 (1978)
Robert Gilpin, War and Change in International Politic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Charles P. Kindleberger, The World in Depression: 1929-1939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8505
gsis@snu.ac.kr
140-1동 301호
gsis.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