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연번
G-30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융합학문
작물
농기계
농토목
농경제
생명
정보
환경
인간
스마트팜
글로벌사회공헌인재
국제화

A. 개요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전공은 인문사회-농학-공학 융합학문 학위제도 실질화와 자율적 탐구를 통한 현장 연계 정착형 교육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전공에서는 “농축산물 최적 생산관리 기술”과 “유통-소비-경영 제고”의 영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산업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교육하여 스마트팜 산업육성을 선도하고 미래 농업을 이끄는 지성과 품성을 겸비한 창의적인 융합 학문의 리더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전: 세계 최초의 다학제적 스마트팜 글로벌 융합혁신인재 양성 교육과정의 성공적 운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교육연구기관으로 도약한다
교육 미션: 미래 농업을 이끄는 지성과 품성을 겸비한 창의융합 학문 리더 양성을 위해, 인문사회-농학-공학 융합학문 학위제도 실질화, 우수학문후속세대 전주기 교육지원, 자율적 탐구와 현장연계 교육시스템 정착
연구 미션: 세계 선도 스마트팜 연구수준 달성과 산학협력 플랫폼 구축으로 산업발전 견인을 위해, 연구 몰입도 확대 및 세계적 연구수준 도약, HW와 SW 기술 융합 4차 산업혁명 선도 연구역량 달성, 산업수요 대응 개방형 혁신 연구 생태계 조성
국제화 미션: 산업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사회공헌 인재를 육성을 위해, 사회공헌 글로벌 인재양성 시스템 구축, 스마트팜 연구와 교육 플랫폼 고도화와 국제화 강화, 글로벌 연구진흥과 지식나눔 네트워크 선도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중점 연구분야: 최적 농축산물 생산 및 관리기술, 지속가능 농업기반 및 환경시스템, 농업유통, 소비경제가치사슬체계, 스마트팜 개발기술보급화 및 국제화
스마트팜 세부분야: 노지정밀농업, 스마트온실, 스마트 축산, 스마트 유통과 소비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2개 대학원(농업생명과학대학과 국제농업기술대학원), 5개 학과(바이오시스템공학, 지역시스템공학, 종자생명과학, 농업자원경제학, 농산업교육학) 소속 전임교원 20명 참여
강진호교수: 작물유전체/육종
권오상교수: 환경경제학 및 자원경제학
김기석교수: 농산가공 및 생체물성공학
김용노교수: 생물공정시스템
김태형교수: 농업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김학진교수: 바이오시스템 제어 및 정밀농업
박상배교수: 농업 생체역학 및 생물공학
박영준교수: 노외기계설계 및 토양기계시스템
서교교수: 그린에코시스템공학
서장균교수: 식물미생물학
송인홍교수: 지역환경보전공학
유도일교수: 농업 빅데이터 및 기술경제
이인복교수: 지역시스템공학
이종욱교수: 개발경제학
이찬교수: 성과관리/ 리더십과 코칭/ 직무
정수교수: 바이오센서 및 농업전자
정춘균교수: 식물분자생물학
최수정교수: 직업교육 / 글로벌 산업인력개발 및 직업능력개발
최원교수: 다물리 구조 시스템 공학
최진용교수: 농어촌용수ICT융합

D. 교육과정

이수학점
석사과정: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이수학점 24학점, 원소속 학과 이수학점 24학점
석사박사통합과정: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이수학점 60학점, 원소속 학과 이수학점 60학점
박사과정: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이수학점 36학점, 원소속 학과 이수학점 36학점
※중복학점 최대 인정 시, 석사과정 12학점, 석사박사통합과정 42학점, 박사과정 18힉점까지 인정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E.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스마트팜 산업과 기술에 관심있는 학생
인문사회-농학-공학 융합학문에 관심있는 학생
스마트팜 비즈니스 및 기업가정신에 관심있는 학생
스마트팜 현장문제 해결 등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싶은 학생

F.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지원자격: 융합전공은 융합전공 참여 학과(부) 소속 학생(입학예정자 포함)으로 제한하며, 동일한 학위과정에 한하여 지원하여야 함. 본 융합전공에 진입하는 학생의 소속은 입학 시의 원 소속학과(부)임.
과정이수: 석사과정 16명, 석사박사통합과정 9명, 박사과정 9명
지원서류: 입학지원서(인터넷 제출), 전학년 성적증명서, TOEFL 성적표, 자기소개 및 수학계획서
선발방법: 석사과정, 박사과정: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순으로 합격자를 선발함.

G.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교과목 이수체계도: 전공교과목
역량 구분
교과 구분
교과목명
학점
융복합 역량
전선
스마트팜 산업과 기술
3
전선
스마트팜 시설환경공학 개론
3
전선
노지 스마트팜 작물학개론
3
전선
스마트팜 노지 자동화 개론
3
전선
농식품 스마트 유통 개론
3
전선
스마트팜 비즈니스
3
전선
스마트팜 기업가 정신
3
현장
전필
스마트팜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
3
응용 역량
전필
스마트팜 실무 융합 적용 인턴십
3
기초역량
전선
스마트팜 논문연구
3
소계
30학점(10과목)
전필 교과목으로 ‘스마트팜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 ‘스마트팜 실무 융합 적용 인턴십’이 운영 중임.
스마트팜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 스마트팜 산업현장에서 해결해야할 다양한 문제들을 확인하고, 학생 개인의 전공을 활용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도출 및 실현을 하는 기회를 갖는다
스마트팜 실무 융합 적용 인턴십: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기술 발전을 위하여 수행할 수 있는 연구 내용을 발굴하고, 수업에서 습득한 지식과 참여 기관으로부터 인턴십 과정에서 받은 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을 수행하여 향후 글로벌 스마트팜분야 인재에 요구되는 실무능력 함양을 목표로 한다.
산학연계비교과과정 운영: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다학문적 역량을 갖춘 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4899
gbst@snu.ac.kr
상록관 2층 2103호
http://calslab.snu.ac.kr/bkgsf/doc.view?mcode=1210&cate=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