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연합전공 글로벌환경경영학

연번
U-07
구분
학부 과정
1 more property

전공소개

1. 키워드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융합적 사고 (Interdisciplinary Thinking)
글로벌 리더십 (Global Leadership)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탄소중립 (Net Zero)
기후변화 (Climate Change)

2. 개요

글로벌환경경영학 전공은 전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설립된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융합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기후변화, 자원고갈과 같은 다양한 환경 이슈를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ESG 가치를 깊이 있게 탐구하고 실무에 적용 가능한 지식과 전략을 배웁니다. 본 전공은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농학, 산림학, 보건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글로벌 환경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3. 세부 전공 및 대표 연구 분야

환경정책, 경영전략 및 국제협력
환경경제학 및 에너지자원경제학
ESG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국제 환경협력 및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개발경제학 및 환경관리 전략
농업 및 산림 정책 개발 및 평가
생태환경 관리 및 지속가능 기술
생태학적 접근을 활용한 환경 분석 및 계획
산림환경보전 및 경관 관리
산업생태학 및 지속가능성 분석
지속가능 교통체계 및 도시계획
GIS 및 공간정보 기반 환경 관리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관리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전략
자연재해 분석 및 대응 전략
재생에너지 기술 및 에너지 효율화
기후변화협약 및 국제환경기구 연구
환경기술 개발 및 평가

4. 전공 공부를 위해 필요한 역량 및 적합한 학생 유형

요구되는 기초 역량
생태학 및 환경과학의 기본 이해
경제학 및 경영학의 기초 지식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양쪽의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융합적 사고력
글로벌 차원의 환경이슈에 대한 관심과 국제협력 능력
선이수 권장 고교 교과목
사회탐구 영역(경제,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정치와 법)
과학탐구 영역(생명과학, 지구과학, 화학)
영어(글로벌 환경문제 접근 및 국제협력을 위한 필수 역량)
적합한 학생 유형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미래 구축에 헌신하고자 하는 학생
다양한 학문적 접근과 융합적 문제 해결을 즐기는 학생
글로벌 시각과 국제협력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환경리더십을 발휘하고 싶은 학생

5. 전공에 대한 흔한 오해(Myths)와 사실

오해 1: 글로벌환경경영학 전공의 학위는 경영학사이다.
사실 2 (Click!)
오해 2: 글로벌환경경영학 전공에서 배운 내용들은 실제 업무 적용도가 낮다.
사실 2 (Click!)

교과과정 관련

1. 졸업요건

이수학점: 39학점 이상
전공필수 15학점(25학년도 이전 진입생: 10학점)
전공선택 24학점 이상(25학년도 이전 진입생: 29학점 이상)
[교과목 이수규정]
연합된 각 전공별 이수 과목 또는 이수 학점:
소속 전공이 자연계인 경우,
인문사회, 정책 및 경영 분야 과목 이수학점이 전공이수학점의 1/3 이상이어야 함 (25학년도 이전 진입생: 1/2 이상)
소속 전공이 인문사회계인 경우,
과학기술 분야 과목 이수학점이 전공이수학점의 1/3 이상이어야 함 (25학년도 이전 진입생: 1/2 이상)

2. 전공 교과 이수체계도

3. 탐색을 위한 권장 교과목

구분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개요 및 추천사유
전공필수
538.301
환경경영학
기업, 개인, 정부의 지속가능한 생산, 소비 및 정책의 당위성과 실천 가능한 대안을 배우고, 환경문제에 대응한 환경규제, 친환경제품개발 및 환경인증제, 청정개발체제, 환경경영평가 등 환경경영의 접근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수업. 이후 환경경영과 관련된 조별 과제를 통해 구두발표 및 보고서 작성 등을 진행하여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수업
전공필수
538.407
환경경영세미나
연구자, 경영인 등 환경문제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자의 방법으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하는 여러 전문가들로부터 특강을 들을 수 있는 세미나 수업
전공선택(인문사회영역)
M1729.000500
기후경제의 이해
기후/에너지/환경 문제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RE100, ESG,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와 같은 현실 이슈에 대해 배우며, 에너지전환과 탈탄소 경제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경제 구조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수업
538.306
기업과 사회적 책임
기업들이 과거 이윤만 추구하던 시대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점점 강조되면서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SG(Enviroment, Social, Governance), 지속가능경영과 같은 개념이 등장하기까지 그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학문적 배경과 이론을 배울 수 있는 수업. 특히 국내외 주요 기업의 실제 ESG 보고서를 분석하고 발표하며 지속가능경영을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
전공선택(과학기술영역)
M1729.001100
환경경영과 지속가능성분석
환경경영의 이론적인 배경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과 실용적 분석 방법론인 생명주기분석(LCA), 물질흐름분석(MFA), 비용편익분석(CBA) 등 산업생태학 분석 도구를 배울 수 있는 수업. 다양한 학문적 지식과 현재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을 평가해보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안을 찾아보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수업

기타 정보

1. 탐색을 위한 추천도서

도서명
저자 및 역자
출판사
출판연도
환경경영
이병욱, 황금주, 김남규
에코리브르
2005
새로운 지구를 위한 에너지 디자인
바츨라프 스밀 저/허은녕·김태유·이수갑 역
창비
2008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저/김은령 역/홍욱희 감수
에코리브르
2011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이본 쉬나드 저/이영래 역
라이팅하우스
2020
기후위기 부의 대전환
홍종호
다산북스
2023

2. 동아리 및 학회

탄소시장 학회 등 신규 개설 계획 중

졸업생 진로

1. 졸업 후 주요 진로

글로벌환경경영학 전공 졸업생들은 환경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진로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기업 분야에서는 현대자동차에서 탄소중립전략 기획, SK이노베이션 E&S에서 수소 마케팅 및 사업 개발, 파타고니아와 트리플래닛에서 지속가능성 실현 및 커뮤니티 중심 프로젝트 운영 등 환경과 비즈니스가 교차하는 다양한 지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컨설팅 업계에서는 에너지 전문 컨설팅 기업인 KEI 컨설팅에서 에너지 전환 전략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사례도 있으며, 법조계에서는 로스쿨 진학 후 환경법을 다루는 법조인으로 성장한 사례도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 분야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국내에서는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공과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행정대학원 등 다양한 전공으로 진학해 환경문제를 각자의 전문성과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듀크대학교 환경경제학 분야로 유학을 떠나는 사례도 있으며, 이처럼 졸업생들은 학제 간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대학원 과정에서 학문적 역량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대학원에서는 특히 현실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탄소의 사회적 비용 추정, 기후-경제 통합평가모형 개발, 지구시스템의 비가역적 변화 규명,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성장률 손실 정량화, 부문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상향식 및 하향식 모형 개발, 주요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량 평가기술 개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진로 및 연구 성과는 글로벌환경경영학 전공이 이론과 실무, 정책과 기술을 연결하는 실질적이고 역동적인 학문임을 입증합니다.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4763
농업생명과학대학(200동) 상록관 7219호
snuc.snu.ac.kr/연합전공/글로벌환경경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