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연번
G-06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여성학
협동과정
젠더
섹슈얼리티
성평등

A. 개요

여성학 협동과정은 기본적으로 여성연구와 교육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하고, 연구와 교육의 성과에 기초하여 여성관련 정책수립에 기여하고 여성운동의 방향제시에 도움을 주는 등, 사회봉사의 목적도 겸비하는 학문이다.
여성의 현실 및 양성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학제적이고도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학문으로서의 여성연구를 확립하고 있다.
현실에 대한 이해와 이론적 역량을 두루 갖춘 전문적인 연구인력을 양성한다.
여성연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 각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한다.
여성분야의 현장과 연계된 조사연구를 통하여 한국사회의 여성관련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연구와 실천이 현실적합적인 연결을 이루어 한국사회의 올바른 여성운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여성학 협동과정은 여성학과 관련된 제반 이론 및 실천/정책 교과목을 제공한다.
이론 교과목: <페미니즘 이론연구>, <여성사연구>, <페미니즘 사상사>, <여성주의 문화이론> 등
실천적 교과목: <성평등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젠더 정책과 국가>, <젠더와 법 연구> 등 정책과 여성 운동과 관련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여성학 협동과정 전공주임교수: 배은경 교수(사회학과)
2025년 현재 다양한 전공의 겸무교수가 연구 및 교육에 참여
인문대학
- 조선정 교수(영어영문학과) - 강초롱 교수(불어불문학과) - 조 향 교수(독어독문학과) - 권윤경 교수(서양사학과) - 공유진 교수(철학과) - 구하원 교수(아시아언어문명학부)
사회과학대학
- 송지우 교수(정치외교학과) - 권현지 교수(사회학과) - 박경숙 교수(사회학과) - 추지현 교수(사회학과) - 이현정 교수(인류학과) - 신혜란 교수(지리학과) - 강재호 교수(언론정보학과) - 김수아 교수(언론정보학과)
수의과대학
- 천명선 교수(수의학과)
환경대학원
- 정현주 교수(도시계획학과)

D. 연구 하이라이트

여성학 협동과정은 여성의 현실을 교차성 연구의 맥락에서 조망하고 있으며, 정부의 여성 관련 정책 중 시의성이 높은 영역에 대한 학술적 개입을 지속해오고 있다. 저출생 대응 정책, 인구 소멸에 대한 정책 및 이주 여성 정책 등이 대표적인 정책 연구 영역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섹슈얼리티 연구와 관련하여 성소수자 인권, 젠더기반폭력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왔으며 연구 성과의 제도적 반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E. 교육과정

학위취득 과정
석사과정: 4학기 이상 등록, 24학점 취득, 석사논문 제출
박사과정: 4학기 이상 등록 36학점 취득, 박사논문 제출
전공필수교과목
213.513 여성학연구방법 1: 양적연구방법(Research Methods in Gender Studies 1: Quantitative Methods)
213.514 여성학연구방법 2: 질적연구방법(Research Methods in Gender Studies 2: Qualitative Methods)
213.502 페미니즘 이론연구(Theories in Gender Studies)
M1316.000400 여성학핵심연구(Intensive Seminar in Gender Studies)
개설 교과목
213.502 페미니즘 이론 연구(Theories in Gender Studies)
213.505 여성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Women)
213.506 여성운동연구(Studies in Women's Movements)
213.507 성과 계급(Gender and Class)
213.508 성과 가족(Gender and Family)
213.511 여성주의문화이론(Feminist Theories on Culture)
213.513 여성학연구방법 1: 양적연구방법(Research Methods in Gender Studies 1: Quantitative Methods)
213.514 여성학연구방법 2: 질적연구방법(Research Methods in Gender Studies 2: Qualitative Methods)
213.515 페미니즘 사상사(History of Feminist Thought)
M1316.000500 젠더정책과 국가(Gender Policy and Modern State)*
213.602 성과 법(Gender and Law)*
213.609A 여성과 문학(Women and Literature)*
213.614A 젠더, 경제, 노동(Women, Economy and Labor)
213.618 여성주의 문화연구(Studies in Feminist Cultures)*
213.620 남성성과 젠더(Masculinity and Gender)
M1316.000200 섹슈얼리티연구(Feminist Studies on Sexuality)*
M1316.000300 여성학 특강Ⅰ(Special Topics in Gender StudiesⅠ)*
M1316.000100 여성학 특강Ⅱ(Special Topics in Gender StudiesⅡ)*
M1316.000400 여성학핵심연구(Intensive Seminar in Gender Studies)
M0000.028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Digital Media and Feminism)
213.803 대학원논문연구(Dissertation Research)

F. 졸업 후 진로

연구직(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전북여성가족재단, 전남여성가족재단 등)
교육기관(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등)
시민단체(여성단체)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여성학 협동과정은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관련된 국내외 이론 학습은 물론 현실 정책과 운동에 이를 적용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적극 환영합니다.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입학자격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입시 자격과 동일하며, 개별 면접을 통해 학생을 선발
면접에서는 이론과 개념에 대한 사전 이해 정도, 연구에의 열정, 지원자 본인의 연구 주제에 대한 논의를 반영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아래 교과목 수강을 통해 여성학 관련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높일 수 있다.
학사과정 교양과목
C30.118 사랑과 일, 그리고 젠더
C30.123 섹슈얼리티와 성평등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성평등과 인권, 다양성에 대한 폭넓은 독서 경험을 가질 것을 권장
매년 여름 여성학 협동과정 자치회에서 학술행사 <젠더네트워킹 포럼>을 개최하며, 학부 학생들도 자유롭게 참여 가능
여성연구소와 여성학협동과정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교내 집담회 참여 가능
매학기 초, 온라인 전공설명회 개최 (일정: 여성학협동과정 홈페이지 참고)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8889
gender@snu.ac.kr
신양학술정보관(16-1동) 402호
gender.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