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뇌인지과학과

연번
G-13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뇌인지
이상뇌인지
치매 정복
정신증
인지신경시스템
신경 메커니즘
뇌인지 발달
인지신경회로
인지, 행동
시냅스
뇌 신호
뉴런

A. 개요

뇌인지과학과는 자연대의 대학원 학부로서 세계적인 수준의 뇌인지과학 간학제적 분야의 박사과정 학생을 교육하는 것이 주 목표이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뇌인지과학학과는 2009년 정부의 WCU(World Class University) 사업으로 자연대에 개설되었다. 2013년 WCU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정부의 BK21+사업의 지원을 받고 있다.
뇌인지과학과의 세부 전공 분야로는 이상뇌인지, 인지신경시스템, 인지신경회로가 있다.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뇌인지과학과의 교수진은 9명의 전임교수와 2명의 겸무교수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연구실 한마디’를 클릭하면 해당 연구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뇌인지 ABC(Abnormal Brain & Congnition)
연구실 한마디 : 치매를 정복하자!
연구실 한마디 : 약물의 관점을 접목시켜 조현병 및 정신증을 이해하고 싶다? 그럼 NPIC으로 오세요~!
인지신경시스템 CNS(Cognitive Network & Systems)
연구실 한마디: 똑똑하고 착한 사람들이 모여, 인간 뇌의 고위 인지 기능을 즐겁게 연구하는 놀이터!
연구실 한마디: 지각, 의사결정, 작업기억, 추상적 사고 등 세련된 인지행동 이면의 계산 과정, 알고리즘, 신경 메커니즘에 대해 실험하고 사유하는 공간, CSNL.
연구실 한마디: 다양한 방법론으로 뇌인지 발달과 노화 과정을 연구하고 싶다면 DCNL으로!
연구실 한마디 : 연구도 잘하고, 맛있는 거 많이 먹고, 재미있는 거 자주 하는 CCSL
연구실 한마디: Everything connects to everything , 멋쟁이 커넥토머가 되자!
인지신경회로 CNC(Cognitive Neural Circuits)
연구실 한마디: 욕망과 중독의 조절기전을 식욕이라는 주제로 쥐/사람/원숭이에게 탐구!
연구실 한마디: 나의 뇌의 기억은 어떻게 나를 만들까?
연구실 한마디: 뇌 신호 속 숨겨진 코드를 해독하여 뇌의 비밀 탐구!
연구실 한마디: Delving deep into the workings of the brain, one neuron at a time.

D. 연구 하이라이트

Egocentric neural representation of geometric vertex in the retrosplenial cortex. Nature Communications (2024)
Exploring shared neural substrates underlying cognition and gait variability in adults without dementia.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2023)
Dopamine dysregulation in psychotic relapse after antipsychotic discontinuation: an [18F]DOPA and [11C]raclopride PET study in first-episode psychosis. Molecular Psychiatry (2021)
Hippocampal orchestration of associative and sequential memory networks for episodic retrieval. Cell Reports (2023)
Attractor dynamics of working memory explain a concurrent evolution of stimulus-specific and decision-consistent biases in visual estimation. Neuron (2025)
Progressive overfilling of readily releasable pool underlies short-term facilitation at recurrent excitatory synapses in layer 2/3 of the rat prefrontal cortex. eLife (2025)
Selective reactivation of value- and place-dependent information during sharp-wave ripples in the intermediate and dorsal hippocampus. Science Advances (2024)
Reduced functional connectivity supports statistical learning of temporally distributed regularities. Neuroimage (2022)
GLP-1 increases preingestive satiation via hypothalamic circuits in mice and humans. Science (2024)

E. 교육과정

석사과정
등록횟수는 4회 이상 8회까지이며 24학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박사과정
등록횟수는 4회 이상 12회까지이며 36학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석·박사 통합과정
등록횟수는 6회 이상 16회까지이며 60학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전공필수 교과목
뇌인지과학의 원리
뇌인지과학의 방법
시스템 신경과학 I (Systems Neuroscience I): 본 강의는 시스템수준에서 뇌구조 및 뇌기능을 대학원생에게 가르칠 목적으로 개설 됨. 특히 신경회로들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심도있게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과 방법론의 습득을 목표로 함. 전통적으로 신경과학에서 많이 연구된 모델 시스템들을 바탕으로 시스템 신경과학에 대한 기초적인 수준의 이해를 목표로 함.
시스템 신경과학 II (Systems Neuroscience II): 본 강의는 시스템수준에서의 뇌구조 및 기능을 보다 심도있게 전공대학원생에게 가르칠 목적으로 개설 됨. 이를 위하여 감각 및 지각신경시스템과 기억시스템 등의 특정 모델시스템을 바탕으로하여 뇌의 여러영역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특정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어떤 구조적 기능적 긴밀성을 유지하는지 자세히 살펴보는 강의가 주를 이룸.
임상신경과학 I (Clinical Neuroscience I): 본 강의는 임상상황에서 부딪히는 뇌질환 (조현병, 우울증, 뇌전증, 치매, 불안장애등)을 이해하기 위해 병리적 기전과 관련된 뇌구조 및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전공대학원생에게 가르치는 강좌임.
임상신경과학 II (Clinical Neuroscience II): 본 강의는 임상상황에서 부딪히는 뇌질환 (조현병, 우울증, 뇌전증, 치매, 불안장애등)을 이해하기 위해 병리적 기전과 관련된 뇌구조 및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심화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전공대학원생에게 가르치는 강좌임.
세포의 구조와 기능 I (Cell Structure And Function I): 이 교과목의 목적은 뇌인지과학과 대학원생들에게 분자세포생물학의 기본개념을 강의하는데 있다. 강의는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유전자발현의 조절, 생체막의 구조,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단백질 targeting, 소포를 매개로 한 물질수송에 초점을 둘 예정이다.
분자 및 세포 신경생물학 I (Molecular and Cellular Neuroscience I): 신경과학은 세포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신경 기능을 이해하고자 하는 현대생물학 중 가장 연구가 활발한 분야이며 신경과학은 행동과 인지기능의 신경생물학적 이해를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본 강좌에서는 환원적인 분자세포생물학적 입장에서 신경 발생, 신경 연접, 전기생리학적 특성, 신호전달기구, 신경가소성을 살펴보고 행동과 학습과 기억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논할 것이다.

F. 졸업 후 진로

학생들은 졸업 후 연구원이 되거나 기업체에 취업함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마음의 작동 원리에 대한 뇌 메커니즘을 밝히고 싶은 학생
인지와 마음의 신경 메커니즘에 대한 신비를 풀어내고 싶은 학생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석사과정 및 석사박사 통합과정: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2026년 2월(국외대학 졸업자는 2026년 3월)까지 취득 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박사과정: 국내·외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2026년 2월(국외대학 졸업자는 2026년 3월)까지 취득 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모집 단위별 동종계열 지정 기준을 충족한 자
영어 : 1) TEPS - 601점 이상, 개정 TEPS - 327점 이상 2) TOEFL - IBT 96점 이상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3월/9월: Open Day (연구실 소개)
동계/하계: BCS 인턴십 (모집 공고 5월/11월)
뇌인지과학 관련 학부 동아리: SNeuro (지도교수: Lee Sang Ah)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8011
https://bcs.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