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행정학 | 정책학 | 공공문제 |
공공기관 | 행정고시 | 정책연구기관 |
A. 개요
행정대학원은 행정학 및 정책학 교육과 연구에 전념함으로써, 국내외 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구자와 교수진을 양성하고 행정기관 등 공공부문의 고위관리자를 배출해왔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걸친 연구를 통해 공공문제 해결과 행정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자문활동과 학술연구를 통해 사회적 책무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
행정대학원은 1959년 설립된 이래 6,853명의 석·박사를 배출하여(2025년 2월 기준) 우리나라에 행정학과 정책학이 뿌리내리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
행정대학원은 ‘국가 리더의 산실’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행정대학원의 동문들은 공공분야를 비롯한 사회의 각계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여 역량을 펼치고 있다.
•
행정대학원은 2025년 QS World University Ranking의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부문에서 8위를 기록하는 등 국제적 지위를 획득하고 있으며, 해외 행정학 및 정책학 학계에서도 공고한 지위를 구축하고 있다.
•
세부전공 및 교육 목표
◦
행정학 전공(석/박사 과정): 국가 및 지방정부를 비롯한 공사부문의 정책과 조직관리를 수행하는 행정전문가를 양성하고, 탁월한 행정학 학문후속세대를 교육한다.
◦
정책학 전공(석/박사 과정): 복잡다양해지는 정책 분야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분야별 정책전문가 또는 정책분석가의 양성과 이를 선도할 수 있는 학문적 발전을 도모한다.
- 글로벌행정 전공(석사 과정)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행정대학원에는 외국인 교수 1명을 포함하여 총 31명의 교수진이 행정, 정책, 정치, 경제 등 사회 전반의 다양한 공공 이슈에 대해 교육 및 연구하고 있다.
•
고길곤 교수(행정학 박사) - 계량분석 및 연구방법론, 정책분석, 의사결정이론, 중국행정개혁 및 부패
•
구민교 교수(정치학 박사) - 국제행정, 통상정책, 동아시아 지역주의, 국제해양질서
•
권일웅 교수(경제학 박사) – 조직경제학, 산업조직론, 노동경제학
•
권혁주 교수(정치학 박사) – 정책이론, 사회정책, 글로벌 거버넌스, 국제개발협력
•
금현섭 교수(정책학 박사) – 분배정책, 복지정책, 정책평가, 방법론
•
김병조 교수(정책학 박사) – 증거기반정책, 조직행태, 탈북 및 이주민정책, 혼합연구방법
•
김봉환 교수(경영학 박사) – 재무행정, 공공회계, 공기업평가, 은행감독
•
김상헌 교수(정책학 박사) – 재정학, 재무행정, 계약이론, 정치경제학
•
김유선 교수(행정학 박사) – 재무행정, 보건정책, 보건재정
•
김윤지 교수(도시계획학 박사) – public finance, local government services, community development
•
김정훈 교수(경제학 박사) – 에너지정책, 기술혁신정책, 행태경제정책, 수요예측모형
•
김준기 교수(정책학 박사) – 재무행정, 정부-기업관계, 공기업론, 준공공부분, 정보통신정책
•
나종민 교수(범죄학 및 형사사법학 박사) – 공공안전/범죄/형사사법 관련 정책 및 행정, 경찰행정, 계량분석 및 연구방법론
•
박상인 교수(경제학 박사) – 산업조직론, 계량경제학, 재벌정책, 경제정책, 경쟁정책, 방송통신정책
•
박순애 교수(환경계획학 박사) – 성과관리, 환경정책, 위험관리, 정책평가
•
박정훈 교수(경영학 박사) – 행정정보관리, 정보정책, 전자정부, 조사방법론, 계량분석
•
엄석진 교수(행정학 박사) – 전자정부와 정보화정책, 한국 행정의 역사적 분석, 행정이론, 연구방법론
•
우지숙 교수(언론학 박사, 법학JD) – 행정과 커뮤니케이션, 정책 홍보, 조직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정책, 저작권법,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보호, 인공지능정책, 정부-언론 관계
•
유종현 교수(환경경제학 박사) – 기후변화 경제학, 자연재해 방재, 에너지 정책
•
이석원 교수(정책학 박사) – 복지정책, 복지제도개혁, 정책평가, 정책분석, 사회실험
•
이수영 교수(행정학 박사) – 인사행정론, 조직행태론, 공공관리론, 조직이론, 정부혁신
•
이진수 교수(법학 박사) – 행정법, 지방자치법, 지방재정법, 공무원법
•
임도빈 교수(사회학 박사) – 조직론
•
전소희 교수(행정학 박사) – 행정윤리, 조직행태, 인적자원관리, 다문화/이민정책
•
전영한 교수(행정학 박사) – 공공관리론, 정책도구론
•
정광호 교수(행정학 박사) – 정책이론, 대통령의 정책관리, 인적자원정책, 정책수단론
•
정호용 교수(경제학 박사) – 공공재정, 정치경제, 교육정책, 인구정책, 계량분석
•
최창용 교수(사회과학 박사) – 국제개발협력, 개발금융, 디지털 민주주의, 정책평가, 북한경제
•
최태현 교수(행정학 박사) – 거버넌스, 집단의사결정, 조직 및 정책학습, 행정가치 및 윤리, 행위자기반모델링
•
함현호 교수(정치학 박사) – 정치행태, 정치제도, 정당, 정책과정, 정치경제
•
JÖRG MICHAEL DOSTAL 교수(정치학 박사) – 글로벌 노동·연금·사회정책, 국제 거버넌스
D. 연구 하이라이트
행정대학원에는 3개의 연구소가 있다.
•
한국행정연구소
학문과 교육 양면에서의 요청에 부응하고 정책자문기능을 보다 잘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1959년 행정대학원의 창설과 함께 출범
활동내역
◦
공공 및 민간을 대상으로 한 정책연구 및 정책자문
◦
연구총서 출판 및 연구지원
◦
국제 국내학술대회 및 학술 세미나 개최
•
정보지식정책연구소
정보화 시대에 즈음하여 행정 영역에서의 정보통신정책 연구 및 교육을 위해 1992년 행정대학원 부설 연구소로 설립
활동내역
◦
공공분야와 관련한 정책연구 및 정책자문
◦
연구총서 출판 및 연구지원
◦
국제 국내학술대회 및 학술 세미나 개최
•
글로벌행정발전연구소
아시아의 다양한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정책개발을 위한 협력의 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2004년 설립
활동내역
◦
아시아고위관리자 정책훈련과정, 특별연수위탁과정, Follow-up Seminar 등의 교육훈련
◦
후속세대양성을 위한 신진연구학자, 대학원생 지원
◦
개발도상국 정부, 공기업 그리고 개발관련 학계를 비롯한 국내외 연구 네트워크 조성 및 기반 마련
◦
연구 논문 및 총서, Working Paper 등의 출판물 발간
◦
국제 및 국내 학술대회 개최 및 주관
E. 교육과정
•
석사과정: 33학점 이수, 논문 작성
•
필수 이수 교과목
행정학전공: 조사방법론, 계량분석 1, 행정이론
정책학전공: 조사방법론, 계량분석 1, 정책이론
글로벌행정전공: 글로벌행정이론/글로벌정책이론 중 택 1, 사회조사방법론/통계분석 중 택 1
F. 졸업 후 진로
•
공공부문
- 행정고시, 민간경력채용 등을 통한 공직 진출
- 공기업 및 지방공기업 등
- 국회 보좌관, 지방의회 의원 등 정치 분야
•
학계 및 연구기관
- 국내외 대학 교수 요원
- 국책연구기관, 민간부문 연구소 등
•
국제기구 및 NGO
- World Bank, UNESCO 등 국제기구
- 국제개발 및 시민단체 등 NGO
•
민간부문
- 인재개발(HR) 직무, 정책파트 전문가 등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
다 같이 잘 사는 방법을 고민해본 적이 있는 사람
•
결과와 성과만이 아니라, 과정도 제대로 되기를 바라는 사람
•
옆에 있는 친구를 괜스레 돕고 싶은 사람
•
사회현상을 보며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할까?’라고 궁금해하는 사람
•
세상을 바꾸는 것은 사소한 실천에서 시작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학석사 연계과정>
•
지원자격(각호 요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함)
가. 4개 학기 이상 등록한 자 (당해학기 등록자)로서 54학점 이상을 취득한 자
나. 직전 학기까지의 전체 성적 평점평균이 3.3 이상이거나 직전 2개 학기의 성적 평점평균이 3.5 이상인 자
다. 소속 학과(부)장 또는 전공주임의 추천을 받은 자
*단, 6개 학기 등록한 자가 지원하는 경우 <석사진입확인서>를 제출하여야 함
•
모집단위 및 모집인원
대학 | 모집인원 | 비고 |
공과대학 | 5명 | |
농업생명과학대학 | 3명 | 식물생산과학부 |
사범대학 | 3명 | |
첨단융합학부 | 18명 |
•
선발방법
서류전형(50%), 면접 및 구술고사(50%)를 원칙으로 하며, 재학 중 성적, 추천서, 연구활동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총점 순으로 합격자를 선발
2026학년도 1학기 선발 일정
내용 | 일정 | 비고 |
선발 공고 | 2025.12.3.(수)~12.17.(수) | |
지원서 교부 및 접수 | 2025.12.11.(목)~12.17.(수) | |
선발전형 | 2025.12.19.(금)~12.26.(금) | * 행정대학원 진행 |
합격자 발표 | 2026.1.2.(금) |
석박사과정별 모집인원(전·후기 합계)
구분 | 행정학 전공 | 정책학 전공 | 글로벌행정전공* | (협)국가정책행정전공* |
석사과정 | 54명 | 54명 | 20명 | 30명 |
박사과정 | 9명 | 8명 | - | 6명 |
* 글로벌행정전공 및 (협)국가정책행정전공은 후기에만 모집
석사과정 – 행정학과(행정학/정책학 전공)
1. 지원자격
•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및 동 예정자
•
TEPS 298점(기존 TEPS 551점 또는 이에 상응하는 TOEFL IBT 점수) 이상 취득자
2. 선발방법
•
1단계: 서류심사 성적순으로 선발예정인원 2배수 인원을 1단계 합격자로 선발
•
2단계: 단계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박사과정 – 행정학과(행정학/정책학 전공)
1. 지원자격
•
국내·외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및 동 예정자
•
TEPS 363점(기존 TEPS 664점 또는 이에 상응하는 TOEFL IBT 점수) 이상 취득자
2. 선발방법
(1) 전기모집
•
1단계: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 순으로 1차 합격자, 2차 선발대상자를 선발
•
2단계: 2차 선발대상자를 대상으로 전공필답고사, 1차 선발 성적을 반영하여 총점 순으로 2차 합격자 선발
(2) 후기모집
•
전공필답고사,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석사과정(후기모집) – 국가정책행정전공(세종 협동과정)
1. 지원자격
•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및 동 예정자
•
TEPS 281점(기존 TEPS 522점 또는 이에 상응하는 TOEFL IBT 점수) 이상 취득자
2. 선발방법
•
1단계: 서류심사 성적순으로 선발예정인원 2배수 인원을 1단계 합격자로 선발
•
2단계: 1단계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박사과정(후기모집) – 국가정책행정전공(세종 협동과정)
1. 지원자격
•
국내·외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및 동 예정자
•
TEPS 281점(기존 TEPS 522점 또는 이에 상응하는 TOEFL IBT 점수) 이상 취득자
2. 선발방법
- 전공필답고사,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권장 수강교과목
전공
•
[216A.210] 행정학서론
•
[216A.211] 인사행정
•
[216A.315] 재무행정
교양
•
[E11.171] 정책학의 이해
추천도서
대런 애쓰모글루·제임스 A, 로빈슨(2012).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임도빈 편저(2017). 『국가와 좋은 행정: 좋은 행정이란 무엇인가』
최병선(2023). 『규제 vs 시장』
최태현(2023). 『절망하는 이들을 위한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