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WCU 하이브리드재료전공

연번
G-24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재료공학
신소재
에너지
환경
반도체
금속
고분자
세라믹
Materials Sciences and Engineering
Advanced Materials
Environments
Semiconductor

A. 개요

금속, 세라믹, 고분자, 반도체 등 단일 재료 중심에서 벗어나 첨단 산업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특성을 지닌 하이브리드 재료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술적 과제가 많음에도 연구와 투자가 이어지는 이유는 하이브리드 재료의 장점과 혁신적 접근 방식 덕분이다. 기존 기술과 물질을 새로운 시각으로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경제성과 친환경성이 요구되고, 미래 산업과 연결되는 에너지·바이오 분야와의 연계도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전공은 축적된 재료 지식과 기술을 재구성하고 타 분야 지식을 접목하여 지속가능한 하이브리드 재료 연구개발과 인재양성의 중심이 되고자 한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전공소개]
현대 사회는 정밀기계, 전기전자, 우주항공, 에너지·환경공학 등 첨단산업의 발전과 함께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재료공학이 있다. 우주왕복선 단열재 개발 실패나 석기·청동기·철기 시대 구분은 모두 재료가 문명과 산업 발전의 핵심임을 보여준다. 자동차·조선의 철강재료, 건설의 무기재료, 정보통신의 반도체, 바이오산업의 신소재는 모두 재료공학의 성과로, 재료는 국가 경쟁력의 척도가 된다.
재료공학은 금속, 고분자, 무기, 바이오, 전자재료를 다루며, 성능 향상을 위해 거시적 성능 이해와 구조–공정–성질의 미시적 이해가 함께 요구된다. 또한 자동차, 반도체 등 응용 분야와 직결될 뿐 아니라 물리·화학·수학 등 기초학문과도 긴밀히 연계되는 종합학문이다. 인류는 재료의 변화와 함께 발전해 왔고, 나노기술은 새로운 성질과 산업을 열어 미래 발전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금속·세라믹·고분자·반도체 등 단일 재료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재료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기존 기술을 새롭게 조합하여 혁신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고, 지속가능성을 위해 저비용·친환경적 특성을 갖추며 에너지·바이오 산업과도 밀접히 연계된다. 축적된 지식과 타 학문과의 융합을 통해, 하이브리드 재료 연구와 인재 양성은 재료공학의 미래를 이끌 핵심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세부전공]
재료과학: 나노재료, 복합재료, 기능성 재료, 자성재료, 고온초전도체
구조재료: 철강, 플라스틱, 콘크리트, 세라믹
AI·계산 재료과학: 머신러닝 기반 재료 설계, 재료 인포매틱스,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양자역학 계산(DFT), 다중스케일 모델링
전자재료: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핀트로닉스, 이오닉스, 센서
바이오재료: 임플란트, 인공피부, 인공장기, 면역세포
에너지 및 환경 재료: 이차 전지, 태양 전지, 연료 전지, 탄소중립소재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학부: 재료공학부
교수진: 이명규 전공주임교수
안철희, 최인석, 도준상, 한흥남, 한정우, 한승우, 홍성현, 황철성, 유효빈, 장호원, 장혜진, 주영창, 한준규, 서준민, 정인호, 강기훈, 강기석, 강승균, 김재필, 김진영, 김미영, 김상국, 김상범, 김영운, 김영은, 곽승엽, 권민상, 이관형, 이명규, 이명재, 이태우, 남기태, 박찬, 박은수, 박주혁, 박민혁, 류일, 손준우, 강동민, 선정윤, 정성균, 정우철, 이경우, 유웅열

D. 연구 하이라이트

E. 교육과정

재료공학부 하이브리드전공 교과과정(대학원 개설 교과목):
4451.601 재료구조론
4451.610A 의료용 생체 복학재료
4451.619 하이브리드 재료 특강 1
4451.621 분자전자재료특강

F. 졸업 후 진로

취업: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 디스플레이, 재료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삼성전기 등 연구소 및 학계(국내외 대학교수)
창업
국가고시
유학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석기/청동기/철기시대처럼 미래 문명을 여는 새로운 재료에 관심 있는 학생
AI/뉴로모픽 미래 반도체를 다루고 싶은 학생
친환경 고분자를 개발하고 싶은 학생
인공 바이오 소재로 삶의 질을 높여보고자 하는 학생
고강도 합금으로 제조의 혁신을 만들어 보고 싶은 학생
신재생 에너지로 지구 환경을 지키고 싶은 학생
다용량 에너지 저장 물질로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생
나노 소재에서 공학의 혁신을 찾고자 하는 학생
지속 가능한 소재 분야의 혁신 기업을 창업하고자 하는 학생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지원서 접수시 모집단위(재료공학부/재료공학부 하이브리드재료전공)를 반드시 확인 후 지원
재료공학부 제출서류(입학지원서, 자기소개서 및 수학계획서를 업로드 한 후 재료공학부로 별도 제출해야 하는 서류):
석사과정, 석박통합과정 지원자
1) 학사과정 전학년 성적증명서 1부(백분율 표시) ※ 본교 졸업생은 제출 생략 가능
2) TOEFL 성적 제출자: TOEFL 성적표 사본 또는 인터넷출력물 1부
박사과정 지원자
1) 학사 및 석사과정 전학년 성적증명서 각 1부(백분율 표시) ※ 본교 졸업생은 제출 생략 가능
2) TOEFL 성적 제출자: TOEFL 성적표 사본 또는 인터넷출력물 1부
○ 면접(박사) 및 구술고사(석사/석박통합)
구술고사 과목: 유기재료화학, 재료열역학, 재료의 기계적 거동, 재료의 전자기적 성질 중 2과목 선택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권장 수강교과목
재료공학원리, 재료열역학, 유기재료화학, 결정학개론, 재료현대물리, 현대재료물리화학, 재료상변태, 재료의 기계적 거동, 재료의 전자기적 성질, 재료실험 1, 재료실험 2, 재료종합설계, 재료종합실험
추천도서
나는 신기한 물질을 만들고 싶다 (저자: 김도연, ISBN: 8925502194)
추천링크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7101
mse@snu.ac.kr
공과대학 35동 215호
https://mse.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