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협동과정 평화.통일학전공

연번
G-07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평화
통일
한반도
북한

A. 개요

한반도의 분단 및 대결구조, 북한의 핵개발 및 비확산 문제, 평화정착 및 통일 기반 구축, 이와 동북아의 평화 및 안정구조와의 연계성 등 학문적으로 현실적으로 연구해야 할 한국의 평화 연구 주제들이 많다.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평화.통일학 전공은 정치외교학부, 경제학부, 사회학과, 인류학과, 지리학과, 국어국문학과, 법학전문대학원, 농경제사회학부, 국제대학원, 행정대학원의 10개 학과(부, 원)와 교내의 평화, 통일 전문 연구기관인 통일평화연구원과 긴밀히 협력하여 한국 평화학과 통일학의 연구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유수의 대학, 기관에서 평화학, 북한학, 통일학 과정을 운영하여 풍부한 학문적 성과를 축적해왔으나,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평화.통일학 전공은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평화 연구와 통일문제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평화통일학에 입학한 후 사회과학대 내 설치된 전공(정치학, 외교학,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지리학 등) 중 하나를 자신의 석사학위 취득학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정치외교학부, 경제학부, 사회학과, 인류학과, 지리학과, 국어국문학과, 법학전문대학원, 농경제사회학부, 국제대학원, 행정대학원 교수진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 7명의 운영위원 교수를 포함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분들이 협동과정 평화통일학 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정치외교학부 이정철(전공주임교수), 임경훈, 전재성 교수
경제학부 김병연 교수
사회학과 박경숙 교수
인류학과 정향진 교수
법학전문대학원 이효원 교수

D. 연구 하이라이트

참여교수진의 최근 대표 연구
이정철 교수 <북미 대립과 친서 외교>
전재성 교수 <미래 세계정치질서와 권역이론>
정향진 교수 <북한의 민속 3>

E. 교육과정

이수과정
석사과정: 4학기 최소 27학점 이상 이수시 수료이며, 그 중 대학원논문연구 수업을 필수로 3학점 이수해야 한다(최대 6학점까지 인정).
박사과정: 2025년 현재 미운영
본 협동과정의 전공 필수과목을 포함하여 본 협동과정에서 개설한 과목을 B0 이상의 성적으로 최소 12학점 이상 이수해야 하며, 현재 전공 필수과목은 평화 연구, 통일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 등 2과목.
또한 자신이 취득하길 원하는 학위를 수여하는 학과(부)(‘학위취득학과’)에 개설된 교과목을 B0 이상의 성적으로 9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다.
주요 전공교과목
M2170.005100 평화 연구(Peace Studies) (전공필수/1학기)
M3226.000200 통일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Issues and Challenges on Unification Studies) (전공필수/2학기)
M2170.005500 인권 연구(Human Rights Studies)
M2170.005600 핵확산/비확산 연구(Nuclear Proliferation/Non-proliferation)
M2170.005200 탈공산이행과 북한(Post-Communist Transition and North Korea)
M3227.000100 대학원논문연구(Reading and Research)
M3226.000100 평화통일학 연습(Seminar in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M3226.000400 미국과 자본주의 문명(America and the Culture of Capitalism)
M3226.000500 한반도 평화 인류학(Anthropology of Peace and Two Koreas)
M3226.000600 평화와 갈등 연구 이론(Theories of Peace and Conflict Studies)
M3226.000700 평화·통일학 질적연구방법(Qualitative Methods in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M3226.000800 독재체제 연구(Studies in Autocracy)
M3226.000900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평화(Sustainable Development & Sustaining Peace)
이외 사회과학대학 내 전공 교과목 중 평화통일학 관련 과목 다수

F. 졸업 후 진로

평화통일학은 2020년 개설된 신생 과정으로 첫 졸업생이 2023년 배출되었음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여 남북관계 개선 및 통일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고 있음
학계: 주요 대학,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통일연구원, 동아시아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타: 한국수출입은행, 시민단체 등 평화통일 관련 기관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무엇보다 한반도 분단과 평화 문제에 꾸준한 관심과 사유가 있는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북한 인권, 통일 정책, 남북 경제 협력, 북핵 문제 등 구체적인 이슈에 대해 독립적으로 공부해 본 경험이 있거나 관련 글쓰기·토론에 참여해 본 이들이라면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시야를 넓히고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국제정치와 동북아 안보에 대한 분석적 이해를 갖춘 학생도 좋습니다. 한반도 문제는 단지 남북 간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미·중·일·러 등 주변 강대국과의 전략적 관계 속에서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국제정세에 대한 감각은 필수적입니다. 또한 이 과정은 다양한 전공자들이 함께하는 융합형 협동과정이라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시각과 전공을 결합해 연구하고자 하는 융합적 사고가 있는 학생에게도 이상적입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로서의 역량과 학문적 문제의식이 준비된 학생이라면 더욱 좋습니다.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평화통일학은 현재 석사과정만 운영.
2025년 현재 입학정원은 전기 4명, 후기 3명
지원자격:
1.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TEPS 혹은 TOEFL 정기시험에서 다음의 지원가능 영어성적을 취득한 자 *TEPS 327점 이상 / TOEFL IBT 96점 이상 (접수 마감일 기준 2년 이내의 유효 성적). 이외에 일반대학원 입학에 필요한 공통제출서류와 함께, 전공 관련 라이팅 샘플(소논문) 1부를 추가적으로 제출해야 함
라이팅 샘플의 주제는 제한이 없으나 평화통일 관련 내용을 선호하며, 양식은 외교학 전공 논문작성안을 준용하여 분량은 10-20매 내외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 총서 시리즈: 평화통일학 관련 추천도서로 평화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한반도에서 평화학의 적용 및 쟁점은 무엇인지 개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음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에서 편집한 <수정주의 국가 북한>: 북한학의 전반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음
추천 교과목
1) 정치외교학부 <북한의 정치와 사회>
2) 사회학과 <민족사회학과 북한연구>
3) 경제학부 <북한경제론>
4) 교양 <북한학개론>
5) 교양 <남북관계와 통일의 전망>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6998
psnu@snu.ac.kr
사회과학대학 16동 M305호
psnu.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