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1. 키워드
영화 | 영상 | 인간 | 인문학 | 사회 | 영화비평 |
2. 개요
21세기는 영화와 영상의 시대로 자리잡고 있다. 서구에서 1970~80년대에 체계화된 영화학은 새로운 시대적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진화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정보화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글로벌 시네마, 트랜스미디어, 디지털 인문학 등과 결합하며 인문학적 담론의 최전선에 자리하고 있다.
영화영상학은 영화와 영상을 탐구하며 인간과 사회를 보는 통찰력을 키우는 학문이다. 학생들은 영화⋅영상학의 다양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으며, 시의성 있고 공감 가능한 이슈를 영화와 영상을 통해 다루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영화영상학은 연계전공의 특성을 살려 영화⋅영상학이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다양한 주제들과 결합해 형성하는 21세기적 지식과 논의를 탐구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이는 정보화와 세계화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인간과 사회를 미시적으로 조망하는 최근 인문⋅사회과학의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3. 세부 전공 및 대표 연구 분야
영화영상학은 다양한 학문적 틀을 기반으로 영화를 다루는 만큼, 다양한 전공 과목들이 개설된다.
•
기본적인 영화언어를 배우고 영화에 적용해 분석해볼 수 있는 <영화언어의 이해>,
•
다양한 지역들을 넘나들며 영화사의 걸작들을 감상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영화를 이해할 수 있는 <영화의 역사>,
•
고전영화를 대상으로 쓰인 고전적인 비평문을 분석하고 비평문을 직접 써볼 수 있는 <영화비평세미나>,
•
영화를 비롯한 스토리텔링 기반 영상물의 제작 전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실제 기획 개발을 연습해볼 수 있는 <영화제작론 특강>,
•
현대 세계 영화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쟁점들을 첨예하게 다루는 영화들을 분석해볼 수 있는 <현대 영화의 쟁점>
등 다양한 자체 과목들이 개설된다.
이외에도 미학과, 언론정보학과 등에서 개설되는 영화⋅영상 관련 과목, 인문대 어문학과에서 개설되는 각 언어권의 영화를 연구하는 다양한 과목들이 있고 또한 음악대학 음악학과에서 제공하는 영화음악 관련 강의들을 이수함으로써 영화에 대한 총체적인 통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 전공 공부를 위해 필요한 역량 및 적합한 학생 유형
무엇보다 영화에 대한 인문학적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단순히 영화를 보는 것을 좋아하는 것을 넘어 영화를 예술의 한 장르로서 향유하고 이를 통해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분석적인 시각을 갖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어야 한다.
세계의 고전 영화를 두루 섭렵하고 있어야 하고, 영화의 기본적인 문법에도 어느 정도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영화를 이해하고 논의하는 데 필요한 역사적, 사회적 배경 지식과 함께 철학, 문학 등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감상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어휘력과 문장력을 갖추고 있어야 과정을 성공적으로 즐겁게 이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5. 전공에 대한 흔한 오해(Myths)와 사실
영화영상학은 우리나라에 이미 존재하는 영화 산업 인력을 양성하거나 실기 및 이론을 아우르는 영화학을 교육하는 학과들과는 다르다. 영화영상학은 세계 각국의 내셔널 시네마(national cinema)를 폭넓게 탐구하거나 영화⋅영상을 인문⋅사회학적 연구 대상으로 삼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전공이다. 따라서 영화영상학은 제작에 치중하거나 이론에 치중하지 않고, 인문⋅사회학적 매체로서의 영화를 다양한 관점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전공이라고 할 수 있다.
교과과정 관련
1. 졸업요건
이수학점: 21학점
•
전공필수: 6학점
•
전공선택: 15학점 이상
2. 전공 교과 이수체계도
3. 탐색을 위한 권장 교과목
구분 |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교과목 소개 |
교양 | C10.120 | 문학과 영상 | 활자와 영상이라는 서로 다른 매체로 이야기를 담아내는 문학과 영화의 관계에 주목하며 영화와 영화 속의 혹은 영화 곁의 문학을 되짚어봄 |
교양 | C10.142 | 영상예술의 이해 | 영상 예술을 대표하는 영화를 살펴봄으로써 영화를 이해할 각자의 방식과 언어를 찾고자 함 |
교양 | L0655.004900 | 베리타스 실천: 영상 제작을 통해 글로벌 공동체로서의 대학을 재사유하기 | 대학의 정신과 다양성을 주제로 하는 영상물을 협력하여 제작해 봄으로써 대학과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협동심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자 함 |
전공선택 | M1312.001000 | 영상 문화 입문 | 회화, 사진, 영화와 게임에 이르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19세기 인상주의 이후 ‘디지털’ 혹은 ‘포스트-미디엄/미디어 시대’라 불리는 당대까지의 영상문화계보를 비판적으로 살펴봄 |
전공선택 | 100.126A | 스페인 영화의 이해 | 스페인의 대표적인 작가주의 감독들의 영화를 사회적, 영화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스페인 사회와 영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자 함 |
기타 정보
1. 탐색을 위한 추천도서
도서명 | 저자 및 역자 | 출판사 | 출판연도 |
위대한 영화 I, II. | 로저 에버트 저 / 윤철희 역 | 을유문화사 | 2019 |
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 | 로버트 스탬 저 / 오세필, 구종상 역 | 한나래 | 1998 |
미국 영화비평의 혁명가들 | 데이비드 보드웰 저 / 옥미나 역 | 산지니 | 2019 |
세속적 영화. 세속적 비평 | 허문영 저 | 강 | 2010 |
스페인 영화: 작가주의와 국가
정체성의 재현 | 임호준 저 | 문학과 지성사 | 2014 |
졸업생 진로
1. 졸업 후 주요 진로
2025년 새롭게 출범한 연계전공이기에 아직 졸업생은 없지만, 관련 직업군과 예상 진로에 대해 적어보려 한다. 본 연계전공을 이수한 후 졸업생들은 문화 관련 기관이나 기업에 취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영화 제작을 교육하는 아카데미나 국내 대학원에 진학해 영화 감독, 기획자, 시나리오 작가 등의 진로를 모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영화영상 관련 학문을 연구하며 학문적 역량을 더욱 심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