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연번
G-57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홈페이지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경제동물
축산기술
식품산업
식품유래기능성물질
종자개발
분자육종
GM작물
저탄소녹색기술
신재생에너지
국제농업
산림거버넌스
SDGs

A. 개요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은 세계화에 따라 국제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국제농업∙그린바이오 분야 글로벌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경제동물, 바이오식품, 종자생명, 그린에코시스템,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국내 선진 농업기술을 개발도상국에 전수하여 국제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국가 위상을 제고한다. 국제 농업 분야의 다양한 융합 지식 및 기술을 지닌 인재, 글로벌 현장에서 전문 능력을 갖춘 인재, 그리고 국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서 현장 밀착형 산학연계실습을 실시하고, 인턴교육을 통해 현장 실무교육을 강화한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경제동물과학전공: 가축 사육과 사양의 전통적 축산을 넘어 현대적인 의미로써 광의의 축산학은 생명현상의 기전을 규명하는 초 생물학적 지식을 토대로 고급 동물성 단백질 식품을 공급하기 위해 제적이고 효율적인 가축 생산기술과 함께 동물생명공학 기법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동물자원 발기술을 연구하는 응용 학문이다.
바이오식품산업전공: 농산물발효, 생물전환 첨단 가공 및 신규 바이오 건강식품 소재 개발 등의 1차 산업과 바이오 건강식품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 및 글로벌 브랜드를 창출하는 2차 산업을 연계하면서, 바이오식품산업 파일로트 시스템을 통한 시제품 생산까지 필요한 이론과 실습을 교육한다.
종자생명과학전공: 작물의 유전체 분석 및 분자육종을 통하여 생명공학종자를 개발하고 이를 산업화하는 것을 목표로 주요 식량 및 채소자원의 유전체분석, 생물정보학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분자육종기술(MAS, GAS), 유전자 기능 발굴 및 형질전환체 개발에 필요한 이론과 실습으로 교육한다.
그린에코시스템공학전공: 그린에코시스템공학은 Green Engineering과 Eco Science가 융합된 학문으로 지구환경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자원발굴과 환경 이슈 및 에너지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새로운 학문 영역이다. 그린에코시스템공학은 농업과 농촌을 대상으로 작물, 토양, 물, 바이오매스, 에너지 등의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를 다루는 융복합적 학문으로서, 기존의 지역적(local)으로 적용이 가능했던 요소기술을 국제적(global)으로 적용이 가능한 복합기술로 발전시켜 나가는 학문이다.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다양한 농업기술에 대한 기초 지식을 기반으로 경제학 및 정책학적인 시각에서 농업개발 및 협력에 대한 이론 학습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농업개발협력활동을 해석하고 현장에서 관련 지식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최종 목표로는 국제적 수준에서 농업부문 개발협력의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우리나라가 국제적인 개발이슈를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경제동물과학전공:
강상기 교수: Animal Bioresources, Animal Biotechnology, Applied Microbiology, Functional Feed Additives
김갑돈 부교수: Technology for meat quality improvement, Applied muscle biology for meat science, Meat proteomics
김경훈 교수: Ruminant Nutrient Metabolism, Nutrient partitioning Feed evaluation and nutrient requirement Methane emission
김종근 부교수: Grassland & Forage Science, Pasture Ecology and Management,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Forage Conservation and Processing
김태민 부교수: Disease animal modeling, Nonhuman primates, Cell therapy
박병철 교수: Applied Animal Nutritional Sciences , Applied Monogastric Animal Nutrition, Animal Bio-Feed Sciences & Technology , Bioactive Substance Technology
박중훈 부교수: Non-clinical development of biopharmaceuticals, Epigenomic dynamics in stem cell ifferentiation, Knowledge-based target ID & validation for disease and economic traits
박태섭 교수: Animal Genetic Engineering, Poultry breeding, Poultry genome editing, Transgenic animals
염수청 교수: Veterinary medicine, Animal model development and resource, Genetically engineered animal, Laboratory animal science
바이오식품산업전공:
김도만 교수: Food Biotechnology & Bioengineering, Functional Food Materials & Fermentation, Glycomics & Microbial Genomics
김정연 조교수: Precision Food Design Technology
김효진 부교수: Therapeutic Level Probiotics & Gut Microbiome in Disease, Food Microbiome, Genome Editing for Food Microbes, Metabolic Engineering for Food Microbes
정동화 교수: Food Biotechnology & Hydrocolloids, Food Emulsions, foams, & Hydrogels, Delivery of Food Functionalities
종자생명과학전공:
강진호 부교수: Plant Molecular Genetics, Plant Secondary Metabolites, Plant Functional Genomics
서장균 부교수: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s, Plant disease resistance, Virus-based Vector engineering
정춘균 부교수: Crop Molecular Biology, Long Noncoding RNAs, Crop Genome Editing
이윤선 조교수: Plant specialized metabolism, 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Plant metabolic engineering
그린에코시스템공학전공:
김학관 부교수: Hydrological and water quality models,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Environmental policy
서교 교수: Green resource engineering, Biomass & bioenergy, Lifecycle analysis
최준원 교수: Bioenergy conversion processes of biomass, Biomass biorefinery process, Lignin chemistry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김태윤 부교수: Agricultural 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Southeast Asia), Productivity Analysis, Data Aggregation
박미선 교수: Agroforestry Policy, International Forest Cooperation, Forest Governance, Forest Discourse and Communication
지성태 부교수: International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Trade and Global Food Value Chain, East Asian Agricultural Development, Social Farming

D. 연구 하이라이트

동물성 단백질 생산을 위한 생리활성물질 연구개발
식물표피세포 발달을 이용한 병해충저항성 기작 연구
생물전환 방식으로 제조한 천연물 배당체 총괄 생산 공정 개발
리그닌 고분자의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화 기술 개발
지속가능한 농업 및 산림관리 거버넌스

E. 교육과정

석사과정 이수학점: 33학점 (공통기초교과목 3학점, 전공기초 교과목 6학점, 전공심화교과목 18학점, 학위논문 연구 6학점)
석사박사통합과정 이수학점: 66학점 (공통기초교과목 6학점, 전공기초 교과목 6학점, 전공심화교과목 45학점, 학위논문 연구 9학점)
박사과정 이수학점: 36학점 (공통기초교과목 3학점, 전공심화교과목 27학점, 학위논문 연구 6학점)

F. 졸업 후 진로

정부부처(농림부, 식약처 등), 민간기업(제일제당, 한미약품, 아모레, 콜마, Cargill, Seegene 등), 국내외 대학 연구원 및 교수, 정부연구소(한국농촌경제연구소,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등), 공공기관/공기업(KOICA 등), 등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평창캠퍼스에서 농생명융복합분야, 그린바이오, 국제농업 관련 학문연구에 참여하고 싶은 학생
경제동물과학: 친환경 동물복지기술 개발에 관심있고, 고부가가치 축산에 대해 궁금한 학생
바이오식품산업: 세계시장 선도할 글로벌 웰니스 식품산업 육성에 관심 있는 학생
종자생명과학: 신기능 작물자원 및 신품종 종자 개발에 관심 있는 학생
그린에코시스템공학: 지속가능 기술이나, 생태공학 관련 기술 개발에 관심 있는 학생
국제농업개발협력:글로벌 농업개발 이슈에 관심있는 학생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입학정원: 석사과정 16명, 석사박사통합과정 9명, 박사과정 9명
지원서류: 입학지원서(인터넷 제출), 전학년 성적증명서, TOEFL 성적표, 자기소개 및 수학계획서
선발방법: 석사과정, 박사과정: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순으로 합격자를 선발함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석사 교과 과정 (2025 학년도 이후 입학생)
구분
이수 학점
교과목 이수
공통기초 교과목
3학점
국제농업기술학개론(1학기: 한국어, 2학기: 영어)
전공기초 교과목
6학점
경제동물과학개론/경제동물과학세미나
바이오식품산업 세미나 1/2
종자생명기술 세미나1/2
그린에코시스템공학 세미나1/2
국제농업개발협력의 이론과 실제/국제농업산림정책/국제농산물무역과 개발
전공심화 교과목
18학점
경제동물과학
바이오식품산업
종자생명과학
그린에코시스템공학
국제농업개발협력(인턴십 교과목 필수 이수)
대학원논문연구
6학점
석사 학위 논문 연구 및 작성
33학점 이상
석사·박사교과 과정 (2025 학년도 이후 입학생)
구분
이수 학점
교과목 이수
공통기초 교과목
6학점
국제농업기술학개론/그린바이오과학기술특강
전공기초 교과목
6학점
경제동물과학개론/경제동물과학세미나
바이오식품산업 세미나 1/2
종자생명기술 세미나1/2
그린에코시스템공학 세미나1/2
국제농업개발협력의 이론과 실제/국제농업산림정책/국제농산물무역과 개발
전공심화 교과목
45학점
경제동물과학
바이오식품산업(지속가능한 푸드시스템 연구방법론 1/2 필수이수)
종자생명과학
그린에코시스템공학
국제농업개발협력
대학원논문연구
9학점
석사 학위 논문 연구 및 작성
66학점 이상
박사 교과 과정 (2025 학년도 이후 입학생)
구분
이수 학점
교과목 이수
공통기초 교과목
3학점
그린바이오과학기술특강
전공심화 교과목
27학점
경제동물과학
바이오식품산업(지속가능한 푸드시스템 연구방법론 1/2 필수이수)
종자생명과학
그린에코시스템공학
국제농업개발협력
대학원논문연구
6학점
박사 학위 논문 연구 및 작성
36학점 이상

홈페이지 및 연락처

033-339-5691
gsiat@snu.ac.kr
평참캠퍼스
https://gsiat.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