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안내
행사 개요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

연번
G-35
구분
대학원 과정
1 more property

학과 전공 소개

해시태그

중등학교
가정교과교육
생활과학
교원 재교육
아동청소년교육

A. 개요

가정교육 협동과정은 건강한 인간 발달과 가정생활의 질 향상이라는 가치를 추구하는 가정교육학을 연구하고, 중등교육 가정교과 교원 등 가정교육학 전문가의 재교육과 역량 향상을 위해 1975년에 설치되었다. 가정교육학 전공자 및 가정과 교사로서의 기본적 덕성과 교육자적 자질을 갖추고, 가정교육학의 철학, 교육과정, 교육방법을 창의적으로 탐구하고 교육하는 전공이다.

B. 전공 소개 및 세부전공

가정교육 협동과정은 건강한 인간 발달과 가정생활의 질 향상을 목표로, 생활과학과 사범대학의 학문적 기반을 융합하여 운영된다. 생활과학(소비자학, 아동가족학, 식품영양학, 의류학) 분야와 가정교육학을 학제적으로 연결해 가정과 교육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현장 적용 가능한 교육 방안을 탐구한다.
이 과정은 크게 세 가지 방향성을 가진다.
1.
학문적 연구: 생활과학 하위 전공 및 가정교육학을 접목하여 인간 발달과 가족의 생활환경을 학문적으로 탐구한다.
2.
전문인력 양성: 가정과 교사 및 교육 전문가로서의 철학,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을 창의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기른다.
3.
연구자 양성: 청소년교육, 부모교육, 평생교육 등 영역에서 건강한 가정생활과 사회적 기여를 이끌어낼 연구자를 양성한다.
세부전공은 생활과학적 지식과 교과교육학적 탐구가 균형 있게 배치되며,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석사 및 박사과정에서는 생활과학 내용학이나 교과교육과 관련된 주제를 선택해 논문을 작성하게 되며, 생활과학 및 사범대학 교수진의 공동 지도를 받을 수 있다.
학부과정에서 이수한 교직과목과 연계하여 추가로 교직과목을 이수함으로써 중등교사 임용시험 응시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C. 참여 전공, 참여 교수진 등 정보

주임교수:
진미정(생활과학대 아동가족학과): 가족학 (가족정책 연구실)
참여교수:
생활과학대학
이재림(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가족학 (가족관계 연구실)
김소연(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소비자학
남영운(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소비자학
윤지현(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푸드서비스 & 마케팅
홍재희(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식품감각과학
김주연(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섬유소재
전재훈(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패션미학
사범대학
이선영(사범대학 교육학과): 영재/창의성 교육, 재능계발교육, 교육심리학
김호정(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한국어습득 및 한국어 교수학습·평가)

D. 연구 하이라이트

최근 학위논문
가정과학 교과연계 진로교육에 관한 가정과 교사 요구도와 교수학습안 개발(석사)
중학생의 가족 다양성 수용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 개발 및 평가(석사)
자녀양육기 어머니의 부모교육 경험을 통해 본 반성적 사고와 성장(석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연구(박사)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박사)
초중등학생의 친사회행동 발현을 위한 부모역량모형 개발(박사)

E. 교육과정

가정과교육특강 (가정과 교육과 관련 교육정책의 동향과 쟁점)
가정교육연구방법론 (과학적인 연구방법, 연구설계 및 자료분석에 대한 학습)
가정과교육과정연구 (가정과교육과정 비교·분석과 개발 영향요인 탐구, 평가기준 학습을 통한 교육자 역량 함양)
가정과교육평가론(학교학습 맥락 속 가정과교육평가 의미와 역할, 개념·측정이론·방법 논의)
가정과교수법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전문 지식 및 기능 습득, 교수법에 대한 이해 및 적용)
가정교육질적연구방법론 (가정교육학 연구 방법론의 역사·철학적 배경 이해, 질적 연구 논리와 기법 습득, 현장실습 통한 자료 수집·분석·보고서 작성 능력 함양)
소비자경제교육론 (소비자교육의 개념 및 내용 고찰, 소비자경제의 기본이론 학습)
소비자문제분석특강(소비자 경제의사결정 주제 탐구, 유형별 문제 대처·교육프로그램 개발, 아동·청소년·노인·저소득층·여성 등 취약소비자 행태 분석과 교육·정책 방안 연구)
청소년문제와 가정환경세미나(청소년의 발달 특성 및 가정환경 등 관련 요인에 대한 이해 및 청소년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아동가족학특강 ( 가족의 욕구 및 행동, 가족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상황과 조건에 대하여 학습 - ‘청소년의 이해’ 및 ‘가족의 이해’단원과 연계)
가정생활과 복지 (가족·식·의·주·소비생활과 관련된 복지 요구에 대한 이해와 충족 방안 모색)
주거학특강 (실천적 문제해결 관점에서 가정교과의 주거학 주제를 심층적으로 학습)
영양학교육론 (생리학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측면에서 영양학의 기본 개념 탐색)
조리과학특강 (중등과정 ‘청소년의 식생활’ 및 ‘지속가능한 식생활과 음식 만들기’단원과 관련된 심화 지식 학습)
복식학교육특강 (복식 선택·제작과 사회적 의미 교육, 긍정적 자기개념 형성, 사회문화·심리적 특성 탐구, 사회성·창의성 함양, 합리적 소비·가계자원 분배 교육)
의류소재 및 의복환경 ( 지속가능 의생활과 의류학 지식 탐구- 중등교육 가정과교육의‘지속가능한 가정생활과 친환경적 의생활’ 단원과 연계)
의복구성학교육론 (패션디자인 원리와 패턴 전개를 통한 의복구성 능력 함양)

F. 졸업 후 진로

중등학교 교원
교육청
대학 강사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등

입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정보

G.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재교육과 역량 강화를 원하는 현직 가정과교사
가정교육학을 더 깊이 공부하려는 기술교사
일반대학원에서 가정과 교사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학생
부모교육이나 아동 대상 교육에 관심 있는 학생

H. 선발 자격 및 기준 등 입학관련 정보

석사, 박사 공통
영어(TEPS, TOEFL) - 개정 TEPS 281점, 기존 TEPS 522점 또는 이에 상응하는 TOEFL iBT 84점 이상
서류 심사 (100점) – 지원서, 자기소개서, 수학계획서 (서울대학교 공통서식)
구술고사 및 면접 (100점) - 필기고사 없음
학부 및 석사 전공에 제한 없음

I. 권장 수강교과목(전공/교양), 추천도서 및 추천 활동

권장 수강교과목
가정과 교육특강
소비자경제교육론
아동가족학특강
의류소재 및 의복환경
의복구성학교육론 등
추천도서
아동가족학
한경혜, 성미애, 진미정, 기쁘다(2020). 가족발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소비자·가족자원관리
이기춘, 김정은(2012). 소비자교육의 이론과 실제(교문사)
식품영양학
전덕영 외 (2019). 재미있는 식품과 영양(수학사)
의류학
김성련(2008). 새의류소재(교문사)
이은영(2003). 복식디자인론(교문사)

홈페이지 및 연락처

02-880-9052
https://hee.snu.ac.kr
사범대학 9동 213호